사업단 비전과 목표

□ 사업단 추진 배경

  •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대책의 필요성 대두
  • 유엔 기본협약 (UNFCCC)을 시작으로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구축
  • (세계 각국의 대응) 파리 협정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외에 연간 15~17 GtCO2을 추가적으로 감축해야 하며, 이는 감축목표를 27~30%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(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-12호, 2017년)
  • 대한민국에서도 2030년까지 기존 배출 전망치 (850.6 MtCO2) 대비 37%의 CO2 저감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과 대응 전략을 추진
  • (주요국가 실행전략) 세계 각국의 CO2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전략의 핵심은 신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다변화 및 산업기술 고도화
  • 2050 탄소 중립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화석에너지 기반의 사회 인프라 전반을 신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전환 필요

  •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시장규모 및 인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
  • 현 시장 성장에 따른 인력 수요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전문인력을 포함하여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산업, 에너지 경영 등 에너지 시장 외 인문/사회 분야 등의 폭넓은 분야를 대상으로 형

  • 현 인력 양성은 관련 분야 중에서 신재생 에너지에만 국한하여 생산이나 활용을 위한 기술적 인프라 구축에만 매진
  • 현 전통적인 학부 중심의 대학 교육은 4차 산업 및 에너지신산업 분야 등의 새로운 융합분야에 대한 탄력적 대응수단이 부족하여, 전문성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 전략이 필요
  • 현 전통적인 학부 중심에서 탈피한 다양한 학위 제도 도입/제공, 그리고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전문 인재 육성전략 추진이 필요

□ (사업단 비전) '2030 에너지신산업을 주도하는 창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'

  •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참여대학간 교육체제 개방, 공유를 핵심 지향점으로 설정
  • 컨소시엄 대학의 공통 교육목표를 위한 전략적 키워드로 창의, 융합(협력), 글로벌을 선정하여 핵심 지향점과 연계

□ (목표) '에너지신산업 기반 맞춤형/리더형 융합인재 양성'

  • 신재생에너지 생산, 저장, 활용 등의 단편적인 분야가 아닌 복합적 전문지식을 통한 시장 기술 선도가 가능한 인재 양성
  • 인문사회와 이·공학 전문지식의 융합을 통한 신산업 및 시장 창출이 가능한 전문 인력
  • 전통적인 학부체계를 탈피한 디지털 기반의 고등교육체제 기반의 혁신 공유대학 체계 구축 및 마이크로 전공 체계 기반 구축
  • 에너지 생산, 저장/변환, 수송/관리, 경영 분야로의 세분화를 통한 탄소 중립 및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에너지신산업 분야 전문인력 교육체계 구축
  •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기반 강화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맞춤형/리더형 융합 인재 양성 교육 기반 구축